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올림픽 포상금에 대한 모든 것 (양궁 포상금)

by 지천명이 되어보니 2024. 8. 8.




올림픽은 세계 최고의 이벤트로, 국가를 대표하는 선수들이 금은동 메달을 놓고 선의의 경쟁을 벌입니다.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는 것은 단순 명예뿐만 아니라 상당한 경제적 이익도 가져다 주는데요. 세계 여러 나라들이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에게 포상금을 지급하고 다양한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올림픽 포상금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올림픽 포상금의 역사와 배경

근대 올림픽이 시작된 1896년에는 프로 선수의 출전이나 포상금 지급이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당시 올림픽은 아마추어 선수들이 출전하는 경기였습니다. 하지만 시대가 변함에 따라 선수들이 훈련과 경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면서 포상금을 지급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되었습니다. 포상금이 선수들에게 추가 수익을 가져다 주는 수단이자 국가의 스포츠 발전을 위한 투자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각국의 포상금 정책

한국

한국은 금메달리스트에게 약 6,300만 원, 은메달리스트에게 3,500만 원, 동메달리스트에게 2,5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해 왔습니다. 또한 메달리스트들은 연금 형태로 매달 금메달리스트는 100만 원, 은메달리스트는 75만 원, 동메달리스트는 52만 5천 원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싱가포르

싱가포르는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에게 가장 많은 포상금을 지급하는 국가 중 하나로, 금메달리스트에게 75만 달러(약 10억 원)를 지급합니다. 이는 싱가포르가 국제 무대에서의 스포츠 성과를 중요시하고, 국가적 자부심을 높이기 위해 투자하는 방식이라 생각됩니다.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는 금메달리스트에게 19억 원 이상의 포상금을 지급할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는 사우디가 아직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선수들에게 큰 동기부여를 제공하기 위한 전략이라 생각됩니다.

영국과 북유럽 국가들

영국, 노르웨이, 스웨덴과 같은 일부 북유럽 국가들은 메달리스트에게 별도의 현금 포상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신, 이들 국가는 선수들의 훈련과 준비 과정에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하며, 포상금보다는 장기적인 스포츠 발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양궁 3관왕 포상금 얼마일까

매회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는 한국 양궁입니다. 올림픽 마다 3관왕의 주인공들이 나오는데요. 과연 양궁 남녀 종목에서 3관왕을 차지할 경우 받게 될 포상금이 얼마일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정부 및 문화체육관광부 포상금 (15,750만 원)

금메달 포상금 

  • 개인전 금메달: 6,300만 원
  • 단체전 금메달: 4,725만 원 (개인전 금메달의 75%)
  • 혼성전 금메달: 4,725만 원 (개인전 금메달의 75%)

올림픽 금메달 포상금은 정부에서 지급하는 포상금으로 개인전과 단체전 모두 각기 다른 포상금을 지급합니다.

 

병역 혜택

남자 선수들의 경우 예술, 체육요원 복무의 병역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군복무 중에도 국가대표로서 활약할 수 있는 여건을 보장하며, 경력 단절 없이 스포츠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연금 및 일시금 (20,160만 원)

연금 상한 점수인 110점을 넘는 다면 연금 대신 일시불 지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금메달 연금(3관왕 일시불): 메달 하나당 6,720만원 x 3

 

지역 자치단체 포상금 (5,000만 원)

  • 청주시 포상금: 3,000만 원
  • 충북도체육회 포상금: 2,000만 원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연금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도 체육연금을 제공합니다. 체육연금은 메달 개수에 따라 중복 지급됩니다.

 

총 예상 포상금

한회 올림픽에서 3관왕을 할 경우 예상 금액으로는 40,910만 원입니다. 예전 올림픽에서 메달을 더 획득하였다면 금메달 포상금 및 연금이 더 많아지게 됩니다. 특히 양궁의 경우 대한양궁협회장사인 현대자동차그룹에서 포상금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이전 올림픽의 경우 금메달 기준 개인전 3억 원, 단체전 2억 원의 포상금을 선수들에게 전달하였습니다. 또 그해 출시된 최신형 자동차를 추가로 지급하였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양궁 3관왕의 경우 총 포상금은 11억 원정도로 예상됩니다.

 

 

결론

오늘 이렇게 올림픽 포상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알고 있습니다. 최선을 다해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여 국가의 위상을 세워준 선수들에게 고마운 마음도 있습니다.

 

그러나 올림픽 메달이 여전히 국가의 위상을 높이는 수단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포상금이 사실상 국민의 세금으로 지급되고 있는 만큼, 이러한 정책이 선수들과 국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속적인 관심과 검토가 필요합니다. 특히, 메달리스트에게만 집중된 포상금이 과연 스포츠 발전에 바람직한지, 더 나아가 스포츠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한지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